차주 주식시장 프리뷰 (20.03.16 ~ 20.03.20): 도대체 무엇을 사고 팔아야하나?!

 

KOSPI 주간예상:1,750~1,900pts까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먼저 상승요인으로 생각해본다면Fed의 완화적 통화정책, 각국 정책 공조, 한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율 감소 전망을 예측해볼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하락요인으로끝나지 않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공포심리 확대로 볼 수 있겠습니다.

 

 

17~18일 FOMC, 19일 BOJ통화정책 회의: 현재 FF선물금리에 반영된 3월 FOMC에서의 금리인하 수준은 75bp이상. Fed가 지난 긴급 금리 인하 발표 당시 심리조작에 실패했던 전례를 감안, 금융시장이 요구하는 광대한 범위의 추가 조치 가능성을 열어 두는 완화적 발언 예상되고 있습니다. 12일 공개된 연준의 양적완화 재개에 대한 구체적인 발언이 있을 전망입니다.

 

그럼에도 현재 금융시장은 크레딧 리스크 확대에 대한 공포감을 선반영하며 정책 무용론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과거 금융위기 대응 실패 및 위기 심화는 안일한 인식에 따른 사후 대응, 종전의 사고방식과 반복적 정책 사용이 있었습니다.

 

 

FOMC

 

예를 들어 대공황 당시는 1929년 10월 주가폭락 이후 은행 영업 정지 발표까지 3년 6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는 초기 베어스턴스의 파경으로 서브 프라임 모기지 대출 관련 거래 내역이 어느 정도 밝혀 졌음에도, 당시 미 정책 당국은 시장 자율 조정기능이 가능하다고 믿거나, 정부가 금융 부문에 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되었습니다.

당시 의회는 리먼 파산 이후 9월 20일 TARP(금융구제법안)을 1차 부결시킨 이후,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자 수정안을 10월 3일 확정하였습니다.

다만, 금융위기가 학습효과를 가져오게 되었고 2009년 3월 이후 금융시장이 안정되었던 이유는 실물부문 지원, 비전통적 방식의 유동성 공급, 국제적 공조(선진국간 환율 Swap, G7 회의 직후 금리인하 등) 등 비통상적 통화와 재정 정책, 국제 공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현재 금융시장은 셰일 기업발 크레딧 위기 공포를 선반영하고 있는 반면, 정책 당국자들은 안일한 인식보다는 빠른 통화 및 재정 정책, 국제 공조를 행하는 중입니다. 금융시장이 원하는 것은 실현 가능한 구체적 정책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겠습니다.

+ Recent posts